네커의 정육면체의 은유
이것은 종이 위에 잉크로 그린 이차원의 도형이지만 투명한 삼차원의 정육면체로 인지된다. 이것을 수초간 응시하면 표면이 다른 방향으로 바뀔 것이다. 계속 응시하면.. 다시 원래의 정육면체로 돌아온다.
이 2개의 정육면체는 똑같이 망막 위의 이차원 데이터에 모순되지 않기 때문에 뇌에서는 이렇게도 보이고 저렇게도 보일 수 있다. 그러므로 어떤 것이 더 정확하다고 말할 수 없다.
이처럼 자연 선택을 보는 데에도 두 견해- 즉, 유전자의 각도와 개체의 각도가 있다. 이 두 견해를 제대로 이해한다면 두 가지 견해 모두가 동등한 것일 수 있다.
과학자에게 있어 새로운 이론을 제안하거나 새로운 사실을 발견해 내는 것보다 더 중요한 사회적 공헌은 기존의 이론이나 사실을 새로운 관점으로 보는 방법을 발견한는 경우가 흔히 있다.
이를 통해 많은 이론이 탄생하고 상상조차 못했던 사실들을 밝혀낼 수 있다.
이 정육면체를 보고 정말 훌륭한 생각을 해 냈다
다른 예들은 뭐가 있을까?
우리 주변에서도 너무나 당연한듯 인식하고 있지만
놓치고 있는 것들이 또 있지 않을까 호호 찾아보자
ref. the selfish gene -2nd in Korean p.12
이것은 종이 위에 잉크로 그린 이차원의 도형이지만 투명한 삼차원의 정육면체로 인지된다. 이것을 수초간 응시하면 표면이 다른 방향으로 바뀔 것이다. 계속 응시하면.. 다시 원래의 정육면체로 돌아온다.
이 2개의 정육면체는 똑같이 망막 위의 이차원 데이터에 모순되지 않기 때문에 뇌에서는 이렇게도 보이고 저렇게도 보일 수 있다. 그러므로 어떤 것이 더 정확하다고 말할 수 없다.
이처럼 자연 선택을 보는 데에도 두 견해- 즉, 유전자의 각도와 개체의 각도가 있다. 이 두 견해를 제대로 이해한다면 두 가지 견해 모두가 동등한 것일 수 있다.
과학자에게 있어 새로운 이론을 제안하거나 새로운 사실을 발견해 내는 것보다 더 중요한 사회적 공헌은 기존의 이론이나 사실을 새로운 관점으로 보는 방법을 발견한는 경우가 흔히 있다.
이를 통해 많은 이론이 탄생하고 상상조차 못했던 사실들을 밝혀낼 수 있다.
이 정육면체를 보고 정말 훌륭한 생각을 해 냈다
다른 예들은 뭐가 있을까?
우리 주변에서도 너무나 당연한듯 인식하고 있지만
놓치고 있는 것들이 또 있지 않을까 호호 찾아보자
ref. the selfish gene -2nd in Korean p.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