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1) 썸네일형 리스트형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10일간의 일정을 마치고.. 이번 미국 라스베가스에서의 일정은 전시회와 학회를 모두 소화하고 돌아오다보니 생각보다 많은 나날들을 머무르게 되었다. 거기다 아래 같이 아파트를 개조한 리조트에서 요리-빨래까지 하면서 지내서 그런지 미국에서 사는 것이 이렇겠구나 싶었다. 가장 크게 느낀 점은 미국에서의 생활이 한국에서의 생활과 생각보다 유사했다는 것이다. 이미 미국의 많은 대형 프랜차이즈 위주의 쇼핑-음식 문화가 대중화된 한국에서의 생활 덕분에 크게 이질감은 들지 않았던 것 같다. 외국 거대 자본들의 투자 덕택(?)일 수도 있지만, 겉보기의 생활이 이미 선진국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은 누구도 부인 할 수 없는 사실일 것이다. 심지어는 한국에서의 물가수준은 이에서 한발 더 나아가 (?) 신발, 옷, 커피 등은 상당히 높은 가격대가.. Android Emulator Tip 때론 이클립스 특성 상 커맨드에서 아래 일들을 해야할 때가 있다. 참고하시길... * Emulator 실행 emulator -avd * ADB Logcat (http://odin.80port.net/blog2/hstech/310) adb logcat AndroidRuntime:E & sheepish closeup by TheAlieness GiselaGiardino²³ 혼자인 시간의 소중함 lonely tree in the snow by sant o 혼자 다니고 밥먹고 영화 보는 것.. 여자친구도 있고 친구들도 많은 게 무슨 궁상이냐고 하겠지만. 나에게는 무척 소중한 시간이다. 혼자 보내는 가장 큰 이유는 외로움 이라는 감정과 정면으로 만나기 위해서이다. 한계이지 기회인 바로 나 본연의 모습이다. 나를 온전히 그대로 느끼고, 가식없이 사색하고 미래를 준비할 수 있기에 나는 오늘도 혼자인 시간이 기다려진다.. 좋은 질문의 중요성 Questions by Oberazzi 좋은 질문을 찾는 것은 좋은 정답을 찾는 것보다 훨씬 중요하고 의미 있는 과정이다. 의미없는 질문과 문제들을 풀기 위해 우리의 에너지는 자주 낭비되곤 한다. 이 얼마나 아까운가.. 세상을 아름답게 만들기에도 부족한 시간에 지금 스스로의 성장에 가장 필요한 질문을 찾고 세상에 도움이 될 가장 좋은 질문을 찾는 과정에서 나와 세상을 바르게 이해하고 거추장스러운 가식과 관념을 한꺼풀 더 벗겨낼 수 있다. 인생 그래프 http://uremon.com/life_graph/ 라이프 그래프는 사이트를 알게되었다. Name 으로 Hogun Park을 입력하고.. 짠 ! 이제 부터 멋있어 지는 나의 그래프를 보고 이 사이트를 무조건 신뢰하기로 했다 ㅋㅋㅋ 다들 재미로 한번씩 해보세요 ~~ P.S 한글, 영어, 한자가 물론 다 결과가 다릅니다.ㅎㅎ 사람들을 느리게 만들어 주는 기술 사람들을 느리게 만들어 주는 기술은 없을까. 빠른 커뮤니케이션으로 인해 소통의 속도는 빨라졌지만 그만큼 사색의 깊이는 얇아지고, 가벼운 말들 일색이다. 느림 속에 통찰이 있고, 여유가 있고, 행복이 있다. Slow Down .......You Clown!! by fatboyke (Luc) 인상깊은 AR 컨셉 영상 및 데모 영상 1. MIRA Lab의 봄베이 유적지 증강현실 제네바 대학의 이 영상의 경우에는 Concept 영상이지만 워낙 옛날 영상이고 PC로는 어느정도 가능한 수준이다. 상당히 자연스러운 증강현실을 보여주고, 특히 뛰어와서 부딪히는 아이들은 굉장히 현실감이 느껴진다. 증강현실을 활용한 좋은 시나리오. 2. PTAMM을 활용한 박물관 증강현실 박물관에서의 증강현실. 3. 이것은 광주과기원의 최근 Demo 영상. 홍길동의 일대기를 기준으로 재미있게 애니메이션을 잘 맵핑해서 넣었다. 상당히 완성도 있는 데모 영상이다. * AR에 관심이 있으신분들을 위한 참고. 환경 정보를 활용하는 PTAMM을 활용한 최신 논문.(Tracking + Mapping) 아래 영상처럼 Tracking하는 객체가 잘 안보여도 계속 증강이 되는.. Sixsense 그리고 아름다운 팀웍 작년 TED에서 발표된 Sixsense 프로젝트에 대한 영상이다. 새삼스럽게 이 오래된 영상을 포스팅하는 이유는 Dr. Pattie Maes가 마지막에 보여준 자신의 학생인 Pranav Mistry에 대한 칭찬과 공을 돌리는 모습에서 큰 감동을 받았기 때문이다. 흔히, 지도교수들은 학생들이 작품을 본인들의 결과물로 얘기하고, 거의 모든 지재권을 소유하는 경우가 태반이다. 물론, 지도교수들의 지도가 결과물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경우 역시 대부분이기 때문에 여기서 이에 이를 달고 싶은 생각은 없다. 하지만, 이 큰 자리에서, 지도 학생을 소개하고 Genius라고 치켜새우는 그녀의 모습은 너무나 감동적이었다. 이런 바람직한 수평관계에서 나오는 팀웍은 정말로 아름답다. p.s. 이 연구실 홈페이지는 정말로 골..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